인제 박인환 문학관
동생들과 집으로 귀가하는 길에 인제가 낳은
인제 시인 박인환 문학관을 찾아 조용히 담아 봅니다.
박인환 "목마와 숙녀"에 대하여
모든 떠나간 것들에 대한 애상과 그리움
박인환(1926-1956)은 김수영(1921-1968), 김경린(1918- ), 조향(1917- ) 등과 더불어 1950년대 모더니즘 운동을
이끈 대표적인 시인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들 시의 특징은 6.25 전쟁 이후에 널리 퍼진 허무주의와 상실감을 도시적 감수성과 현대적인 감각으로 그렸다는 데 있다.
그 가운데 박인환은 가장 감성적인 기질을 가진 시인으로, 비애와 절망의 감정을 노래하는 데 치중하여, 자기 체념적 감상주의에 빠져 드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그의 작품 "목마와 숙녀"에는 이러한 그의 기질과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여기서 '목마'는 순수와 동심을 상징하는 시어이며, '숙녀'는 뒤에 등장하는 버지니아 울프(1882-1941)를 가리킨다.
버지니아 울프는 의식의 흐름(끊임없이 흐르고 있는 작중 인물의 심리를 논리적인 맥락에 구애 받지 않고 그대로 파악하여
묘사하려는 수법)에 중점을 둔 내면 묘사의 글을 주로 쓴 영국의 여류 소설가이다.
그녀는 "등대로", "세월" 등의 소설을 남기고, 제 2차 세계 대전이 가져온 정신적 중압에 견디지 못했음인지
투신 자살로 생애를 끝마쳤다.
이러한 비극적 생애의 인물과 떠나간 목마, 늙어 버린 소녀, 작별, 쓰러진 술병, 불빛이 보이지 않는 등대 등이
연이어 등장하면서 작품 전체는 시들고 떠나가는 것들에 대한 애상(哀想-슬픈 생각)과 비탄의 노래가 된다.
그러기에 그는 1950년대를 목마가 '주인을 버리고 거저 방울 소리만 울리며/가을 속으로 떠'난 불안한 절망적인
시대로 인식한다.
'문학이 죽고 인생이 죽고/사랑의 진리마저 애증의 그림자를 버'린 시대인 것이다.
'인생은 외롭지도 않고/그저 잡지의 통속(通俗)'하다는 구절은 이러한 시대 상황을 절망적으로 바라보고 있는
그의 쓰라린 독백이다.
즉 모든 아름답고 소중한 가치들이 허망하게 무너진 황량한 세계에서 외로움을 느끼고 어딘가에 호소한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을 거쳐 마침내 이 시는 '내 쓰러진 술병'으로 끝을 맺는데, 이 마지막 행은 삶에 대한 그의 비관적 태도가
집약되어 나타나고 있는 행이라 할 수 있다.
약간은 가볍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고우면서도 애상이 서려 있는 이 시는 이처럼 모든 떠나간 것들에 대한 허무와
그리움을 감각적이면서도 상징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한 잔의 술, 버지니아 울프, 목마, 숙녀, 방울 소리, 애증의 그림자, 가을 바람 소리 등과 같이 감각적이고 아름다운 언어들은 박인환의 짧은 생애만큼이나 우리들에게 애처롭고 안타까운 느낌을 준다.
어떻게 살아온 인생인데
모더니즘의 깃발을 높이 들고 한국 전쟁 전후 폐허의 공간을 술과 낭만으로 누비던 박인환(1926∼1956)의 '세월이 가면'은 전쟁으로 가족을 잃고, 연인을 잃고 혹은 살아 있는 사람과 이별했던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적신 화제작이었다.
이 詩에 대하여 강계순(姜桂淳, 1937년생)은 박인환 평전 '아! 박인환'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아! 박인환, 문학예술사, 1983. p168~171)
을지로 입구 외환은행 본점 건물을 왼쪽으로 끼고 명동 성당 쪽으로 비스듬히 뻗어 간 길을 걷다보면 세월의 이끼가 묻어나는 낡은 3층 건물이 나타난다. 이 건물의 2층에는 놀랍게도 딜레탕트 박인환의 흔적을 기억이라도 하듯 '세월이 가면'이라는 간판을 내건 카페가 있다. 바로 이곳이 전후 명동에서 문인들의 사랑방 노릇을 하던 '명동 싸롱'이었다. 박인환은 이곳에서 문우들과 어울리다가 계단을 내려와 죽음이 휩쓸고 간 세월의 쓸쓸함을 술로 달래기 위해 맞은편 대폿집 '은성'으로 향했다.
탤런트 최불암씨의 어머니 이명숙 씨는 한국전쟁 직후 서울 명동에서 '은성'이란 주점을 운영했다. 지금의 유네스코회관 건물 맞은편 자리이다. 통나무 의자에 사기그릇 대폿잔, 담배연기로 꽉 찼던 이곳은 예술인들의 아지트였다.
1956년 이른 봄 저녁이었다. 은성에 모여 앉은 박인환, 이진섭, 송지영, 영화배우 나애심이 술을 마시고 있었다. 술이 몇 차례 돌아가자 그들은 나애심에게 노래를 부르라고 졸랐지만 그녀는 좀체 부르지 않았다. 그 때 갑자기 박인환이 즉석에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그 시를 넘겨다보고 있던 이진섭도 즉석에서 작곡을 하고 나애심은 흥얼흥얼 콧노래로 그 곡을 부르기 시작했다. 이렇게, 깨어진 유리창과 목로주점과도 같은 초라한 술집에서 즉흥적으로 탄생한 것이 오늘까지 너무나도 유명하게 불리고 있는 '세월이 가면'이다.
한두 시간 후 나애심과 송지영은 돌아가고 임만섭, 이봉구 등이 합석을 했다. 테너 임만섭이 그 우렁찬 성량과 미성으로 이 노래를 정식으로 다듬어서 부르자 길가는 행인들이 모두 이 술집 문 앞으로 모여드는 기상천외의 리사이틀이 열렸다. 마른 명태를 앞에다 놓고 대폿잔을 기울이면서 아름다운 시를 쓰고 작곡을 하고 노래를 부르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을 지켜보며 박수를 보내는 많은 행인들. 그것은 마치 낭만적인 영화의 한 장면 같기도 했다. 박인환의 '세월이 가면'은 순식간에 명동에 퍼졌다. 그들은 이 노래를 명동 엘리지라고 불렀고 마치 명동의 골목마다 스며있는 외로움과 회상을 상징하는 듯 이곳저곳에서 이 노래는 불리어졌다.
이 '세월이 가면'에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애절한 이야기가 담겨져 있다. 이 시를 쓰기 전날 박인환은 십 년이 넘도록 가지 못했던 그의 첫사랑 애인이 묻혀 있는 망우리 묘지에 다녀왔다. 그는 인생을 정리하고 있었던 것 같다. 사랑도, 시도, 생활도 차근차근 정리하면서 그의 가슴에 남아 있던 애인의 눈동자와 입술이 나뭇잎에 덮여서 흙이 된 그의 사랑을 마지막으로 돌아보았다. 순결한 꿈으로 부풀었던 그의 청년기에 아름다운 무지개처럼 떠서 영원히 가슴에 남아있는 것, 어떤 고통으로도 퇴색되지 않고 있던 젊은 날의 추억은 그가 막 세상을 하직하려고 했을 때 다시 한 번 그 아름다운 빛깔로 그의 가슴을 채웠으리라. 그는 마지막으로, 영원히 마지막이 될 길을 가면서 이미 오래 전에 그의 곁에서 떠나간 연인의 무덤에 작별을 고하고 은밀히 얘기하고 싶었다.
박인환은 '세월이 가면'을 쓰고 나서 한동안 흥분으로 세월을 보냈다. 부지런히 원고도 써서 몇 푼 원고료를 받지만 집에 떨어진 쌀을 살만큼 넉넉한 것은 아니었다. 하염없이 쓸쓸한 얼굴로 명동 백작으로 불리던 이봉구와 '신라의 달밤'을 잘 부르는 임궁재 등과 함께 국수 한 그릇에 술잔을 비우곤 했다.
불후의 명곡 '세월이 가면'이 완성 되던 날 이진섭과 함께 어디서 그렇게 낮술을 많이 마셨는지 얼굴이 붉어가지고 당시 단성사에서 상영중인 '롯사노 브릿지'와 '케서린 햅번' 주연의 '여정'을보고 싶었으나 주머니가 비어 못 보고 '세월이 가면'을 애처롭게 술집에 앉아 불렀다. 그리고 사흘 후 친구인 김훈에게 자장면 한 그릇을 얻어먹은 박인환은 술에 만취되어 집에 와 잠을 자다가 심장마비로 31세의 아까운 인생을 마감했다. 세탁소에 맡긴 봄 외투도 못 찾고 두꺼운 겨울 외투를 그대로 입은 채였다. 무슨 이유에선지 눈을 감지 못하여 부음을 듣고 맨 먼저 달려온 친구 송지영이 감겨주었다. 생전에 그렇게 좋아하던 술을 못 사주었다면서 김은성이 조니워커 한 병을 죽어 누워 있는 박인환의 입에 부었고 다들 울었다. 그의 상여 뒤로 수많은 선후배들이 따랐고 공동묘지까지 따라 온 친구 정영교가 카멜담배와 조니워커를 그의 관 위에 부어 주었다. 모윤숙 시인이 고인의 시를 낭송 하였고 친구인 조병화 시인이 조시를 읽었다.
"인환이 너 가는구나
대답이 없이 가는구나
너는 누구보다도 멋있게 살았고
멋있는 시를 쓰고..."
세월이 가면
지금 그 사람 이름은 잊었지만
그 눈동자 입술은 내 가슴에 있네
바람이 불고 비가 올 때도
나는 저 유리창 밖 가로등
그늘의 밤을 잊지 못하지
사랑은 가도 옛날은 남는 것
여름날의 호숫가 가을의 공원
그 벤치 위에 나뭇잎은 떨어지고
나뭇잎은 흙이 되고 나뭇잎에 덮여서
우리들 사랑이 사라진다해도
내 서늘한 가슴에 있네
동생들과 점심을 맛있게 하고
빙어의 고장 강원도 인제를 떠납니다.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에 있는
박인환 시인 문학관을 동생들과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학박물관과 다산 기념관 (0) | 2014.01.10 |
---|---|
마현 정다산 마을 (0) | 2014.01.10 |
인제 산촌민속박물관 (0) | 2014.01.04 |
백담사 만해마을 (0) | 2014.01.04 |
신년맞이 설악산 신흥사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