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호미곶 새천년기념관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 136>
054-284-5026
포항시의 역사와 문화, 산업을 알리는 새천년 기념관.
새천년 기념관은 연면적 5,101㎡의 규모다.
1층에는 ‘빛의 도시 포항속으로’ 전시실, 2층에는 포항바다화석박물관,
3층에는 영상세미나실, 시청각실, 한국수석포항박물관,
지하1층에는 공예공방 체험실이 옥탑에는 전망대를 갖추고 있습니다.
2층 포항 '바다화석박물관' 을
포항의 계시는 '어사장님' 의 안내로 관람을 합니다.
포항 '바다화석박물관'
경북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해맞이로 136
054-284-9229
본 박물관은 1996년 6월 26일 정식 개관된 등록 84호 제1종 화석 전문박물관으로 한 개인인 '강해중'씨가
20여 년 동안 수집한 화석들이 전시되어 있는 사립박물관입니다.
국내 최초·유일의 화석박물관으로, 제1전시관에는 한국을 포함한 세계 20여 개국의 산지를 갖는 약 1,500여 점의
화석들이 시대별, 지역별, 분류별 특징에 따라 전시되어 있고 여러 가지 보석을 포함한 광물들도 전시되어 있으며,
제2전시관은 식물화석테마관으로 규화목을 비롯한 다양한 식물화석들과 특 별전시로 세계 24개국 지폐가 전시되어
있어 한층 볼거리가 다양해 졌습니다.
아울러, 무료수석전시관 이 있어 화석과는 또 다른 수석을 감상하실 수 있습니다.
취미로 시작된 화석 수집이 국가적으로 교육적으로 중요한 자료임을 깨닫고 일반 국민뿐만 아니라,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산 교육장의 역할을 할 수 있길 바라며 개관이래 2000년 6월까지 606,549명 (1999년 5월까지는
무료관람자 포함)의 관람자가 다녀갔습니다.
지구의 역사, 생물의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는 살아있는 교육의 장으로서 모든 국민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교육,
문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 [제1전시관] 한국의 화석
크게 고생대의 화석, 중생대의 화석 신생대의 화석, 한국의 화석, 광물 등 다섯 개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다. 고생대관과 중생대관에서는 각 시대의 대표적인 표준화석인 삼엽충과 암모나이트를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한꺼번에 볼 수 있어 시대별로 어떻게 진화 해왔는지 쉽게 파악 할 수 있다.
2, [제2전시관] 식물화석테마관
1998년 6월 6일에 신설된 식물화석 테마관으로 각 시대별로 번성하였던 식물과 여러 지역에서 산출된 가공 규화목과 호박 등 15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포항의 동. 식물 화석
분화석
새천년 기념관 전망대
새천년 기념관 전망대서 바라본 호미곶 해맞이 광장
새천년 기념관 전망대 반대쪽
맑고 푸른 바닷가 호미곶 대보항을 바라보며...
푸른바다 조그만 호미곶 대보항
대보방파제 방향을 바라 보시는 '어사장님'과 함께 인증샷.
한국수석포항박물관
새천년 기념관 전망대에서 엘리베이터로 3층으로
내려와 포항시 시민과 전국 '수석 동우회' 에서 기증한 귀중하고 멋진
'한국수석포항박물관'을 포항에 어사장님 안내로 감상합니다.
포항에 계신 '어사장님'과 옛시절 포항제철
역군인 '한국수석포항박물관' 관장님을 만나 뵙습니다.
간단한 '수석박물관' 설명과 함께
전시관을 안내하여 주셔서 매우 반갑고 즐거웠습니다.
관람 시간을 줄이고 새천년 광장으로 나왔지만
너무 시간들이 흘러버려.. 오늘의 남은 일정을 소화를 못하고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산 자연휴양림'으로 다시 돌아 갑니다.
구룡포항 시장에서
홍게를 사서 쪄가지고 갑니다.
운문산 자연휴양림으로 가는 도중에 있는
가지산 온천을 찾아 힘들은 하루 여행의 피로를 풀고 갑니다.
운문산 자연휴양림에 도착하여 저녁 식사와
대게로 소주 한잔씩 나누며... 휴양림 주변을 밤하늘에 산책합니다.
포항에 '어 사장님' 께 즐거운 여행을
동행 하시며... 안내하여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늘 건강과 행복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박4일 마지막 여행지 대구에서... (0) | 2017.03.13 |
---|---|
경북 청도군 운문면 '운문사(雲門寺)' (0) | 2017.03.13 |
포항 국립 등대 박물관 (0) | 2017.03.08 |
포항 호미곶 등대 역사관 (0) | 2017.03.08 |
포항 호미꽂 해맞이 광장 (0) | 2017.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