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암각화 박물관 과 '반구대 암각화'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991
052-229-4797
2017년2월 24일 금요일 경남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를
관람하고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울산 암각화 박물관에 도착,
암각화 박물관을 관람하고, 반구서원을 지나 대곡리 도착.
조그만 마을앞 탐구길 목재교를 걸으며 '반구대 암각화'를 찾아 봅니다.
울산 암각화박물관 1층 전실실에는 반구대 암각화와 천전리각석을 비롯한 암각화 실물모형과
바위그림의 재료와 제작기법, 암각화 관련 자료들을 소개하고 있다.
2층에는 울산의 지형변화, 대곡천 암석의 특징, 태화강 토층, 황성동 유적출토 고래뼈 등
선사시대 울산의 자연환경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반구대 암각화에 바다동물인 고래, 거북, 물개, 상어, 물고기 등이 그려진 그림 하나
하나를 확대한 그림이 전시되어 있다.
한국의 바위 그림
밀양 신안, 사천 본촌리, 여수 오림동, 안동 수곡리,
제주 장령리,고령 양전동, 경주 석장리, 포항 칠포리 등에 바위 그림들이 있다.
암각화 란??
'암각화' 또는 '바위그림'은 글자 그대로 '바위 위에 다양한 기술로 그려진 모든 그림'을 뜻하는 것으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세계 거의 모든 지역과 시대에 걸쳐서 나타나는 인간의 가장 오래된
예술 표현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울산 암각화박물관을 관람하고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보기위해 천천히 갑니다.
집청정 (集淸亭)
기암괴석 절경을 감상하면서 가노라면 정각이 눈에 들어옵니다.
푸른물을 모은다는 '집청정(集淸亭)'은 '반두대 암각화'를 최초로 발견한 한학자 최경환 선생의 생가다.
조선 영조때 최신기 가 지은 경주최씨 문중의 정각이다. 제일 앞에있는 건물인 집청정에서는 반구천의 물 흐르는 소리가 생생히 드린다.
요즘 이곳은 다도, 한복입기 같은 전통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공간을 차한잔의 여유를 갖는것도 좋을듯 하다.
대곡천 건너 암벽으로 된 절벽 위에는 비각이 서 있다.
반구서원 유허비 이다.
유허비란? 한 인물의 옛 자취를 밝혀 후세에 알리고자 하는 비석이다.
반구서원
친원배명 정책에 반대하다가 언양에서 1년넘게 귀양살이를 한 고려말 포은 정몽주(1337 ~ 1393 ),
조선 초기의 경상도 관찰사 회재 이언적 (1491~1553 ), 한강 정구 ( 1543 ~ 1620 ) 등 삼현이 이곳에서 명시를
남기고 있는데, 반구대 아래의 포은대에는 삼현의 행적을 기록한 유허비와 포은대영모비가 세워져 있고
또 맞은편에는 중창한 반구서원이 있다.
시경 ( 詩經 )의 반구서원은 사액되지 못하였다.
이후 1871 ( 고종8 ) 흥선대원군의 명으로 서원은 문을 닫게 되었다.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은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보고 나올때 보기로 합니다.
드디어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큰내건너 입구앞에 걸어서 도착하였다.
반구대 암각화는 30m 절벽 아래부분 폭 10 m, 높이 4m 에 300여개의 그림이 새겨져 있다.
앞에는 물이있어 가까이 갈 수 없어 망원경으로나 볼 수 있다.
국보 제 285호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는 암각화박물관에서 1Km 남짓 대곡천을 따라 가야한다.
암각화는 대곡천 건너 30 여m절벽아래 새겨져 있어 가까이 접근하여 볼 수 없어,
눈으로 절벽만 보고 자세한 암각화는 망원경과 사진으로 보아야 한다.
반구대(盤龜臺)는 마치 거북이가 넙죽 엎드린 형상을 반구대(盤龜臺)라 한다.
절승가경이라 옛날부터 시인 묵객들은 이곳을 찾아 시영(詩詠) 으로써 경관을 즐겼다고 한다.
대곡천은 울산 울주군 탑골샘에서 발원하여 연화천, 구량천과 합류하여 반구대암각화를 지나
울산 중심부를 통해 동해안으로 흘러가는 태화강의 본류이다.
울산 태화강의 지류인 대곡천변 절벽에 300여점의 암각화가 새겨져 있다.
반구대 암각화에는 바다와 육지동물, 사냥과 포경장면 등이 새겨져 있다.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포경유적으로 북태평양의 해양문화를 담고있는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보 285호 다.
'반구대 암각화' 현장에 계신 해설자님의 설명을 들으며
3월 15일에서 5월중 오후 4시경이
석양노을 햇빛이 반사되여 제일 암각화가 제일 잘 보이는 시기라고 하네요,
대곡리 공룡발자국 화석
울산 암각화박물관과 '반구대 암각화'를 잘 보고 갑니다.
언제나 건강하십시요.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주 천전리 각석 (蔚州 川前里 刻石) (0) | 2017.03.06 |
---|---|
울산 대곡발물관 (0) | 2017.03.06 |
경남 통도사 (성보박물관) (0) | 2017.03.06 |
울산 대왕암과 울산대교 (0) | 2017.03.03 |
울산 대왕암 공원과 울기등대 (0) | 2017.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