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주 "부석사" 와 '선비촌'
울진 소광리 "금강소나무 숲" 을 나와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에
위치한 "부석사" 를 향해 무던히도 구불꾸불 달려서 부석사 주차장에 도착하여
지인님이 잘 아시는 친절한 식당에서 늦은 점심을 맛있게 먹습니다.
후덕하고 푸짐한 인심에 막걸리도 한잔 기울이여 피로를 풀며, 과일까지 챙겨주신
고마움을 뒤로하고, 부석사 경내를 설명하여 주신 회원님께 감사함을 전하오며
영주시 순흥면 청구리에 '선비촌' 을 마지막으로 여행하고, 인천으로 무사귀가 하였습니다.
부석사
▲ 한국 화엄종(華嚴宗)의 근본도량(根本道場)이다.
676년(신라 문무왕 16) 의상조사(義湘祖師)가 왕명을 받들어 창건하고, 화엄의 대교(大敎)를 펴던 곳으로, 창건에 얽힌 의상과 선묘(善妙) 아가씨의 애틋한 사랑의 설화는 유명하다. 1016년(고려 현종 7)에 원융국사(圓融國師)가 무량수전(無量壽殿)을 중창하였고 1376년(우왕 2)에 원응국사(圓應國師)가 다시 중수하고, 이듬해 조사당(祖師堂)을 재건하였다. 그 후 여러 차례 중수와 개연(改椽)을 거쳐 1916년에는 무량수전을 해체 수리하였다.
경내에는 무량수전(국보 18)·조사당(국보 19)·소조여래좌상(塑造如來坐像:국보 45)·조사당 벽화(국보 46)·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17) 등의 국보와 3층석탑·석조여래좌상·당간지주(幢竿支柱) 등의 보물, 원융국사비·불사리탑 등의 지방문화재를 비롯하여 삼성각(三聖閣)·취현암(醉玄庵)·범종루(梵鐘樓)·안양문(安養門)·응향각(凝香閣) 등 많은 문화재가 있으며 또 신라 때부터 쌓은 것으로 믿어지는 대석단(大石壇)이 있다.
의상은 제자가 3,000명이나 있었다고 하며 그 중에서 10대덕(十大德)이라 불리는 오진(悟眞)·지통(智通)·표훈(表訓)·진정(眞定)·진장(眞藏)·도융(道融)·양원(良圓)·상원(相源)·능인(能仁)·의적(義寂) 등은 모두 화엄을 현양(顯揚)시킨 승려들이었다.
이 밖에도 《송고승전(宋高僧傳)》에 그 이름이 보이는 범체(梵體)나 도신(道身)및 신림(神琳) 등도 의상의 훌륭한 제자였으며 의상 이후의 부석사와 관계된 고승으로는 혜철국사(惠哲國師)·무염국사(無染國師)·징효대사(澄曉大師)·원융국사·원응국사 등이 그 법통을 이었다.
▲ ▶ 무량수전 (국보 제18호)
부석사의 주불전으로 아미타여래를 모신 전각이다. 아미타여래는 끝없는 지혜와 무한한 생명을 지녔으므로 무량수불로도 불리는데 '무량수'라는 말은 이를 의미하는 것이다.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건물 가운데 하나이다.
역사적으로 인정되기로는 안동 봉정사 극락전이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로 알려져 있지만 건물 규모나 구조 방식, 법식의 완성도라는 측면에서는 무량수전에 비하여 다소 떨어진다.그러므로 무량수전은 고대 불전 형식과 구조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기준이 되는 중요한 건물이다
▲ 안양루는 무량수전 앞마당 끝에 놓인 누각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로 무량수전과 함께 이 영역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 건물에는 위쪽과 아래쪽에 달린 편액이 서로 다르다. 난간 아랫부분에 걸린 편액은 '안양문'이라 되어 있고 위층 마당 쪽에는 '안양루'라고 씌어 있다. 하나의 건물에 누각과 문이라는 2중의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 '안양'은 극락이므로 안양문은 극락 세계에 이르는 입구를 상징한다.
따라서 극락세계로 들어가는 문을 지나면 바로 극락인 무량수전이 위치한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다.
▲ 부석사에는 2개의 누각이 있는데 안양루와 범종각이다.
문의 성격을 겸한 안양루가 석축 위에 작고 날아갈 듯하게 지은 누각이라면 대석축단과 안양루 석축으로 구분되는 공간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는 범종각은 지반에 견고하게 버티고 선 안정감 있는 건물이다. 특히 이 범종각은 그 건물의 방향이 여느 건물과는 달리 측면으로 앉아있다. 건물의 지붕은 한쪽은 맞배지붕을 하고 있고 다른 한쪽은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데 자세히 보지 않으면 지나치기 쉽다. 팔작지붕을 한 쪽이 정면을 향하고 있고 맞배지붕이 뒤쪽을 향하고 있는데 무량수전 앞에서 바라보면 왜 목수가 지붕을 그리했는지를 알수 있으며 그 지혜에 절로 감탄이 난다.
부석사가 소백산맥을 향하여 날아갈 듯이 앉아있는데 범종각이 정면을 향하고 있으면 건물이 전반적으로 무거워보인다. 따라서 범종각을 옆으로 앉혀놓고 뒷쪽을 맞배로 처리하여 건물이 전반적으로 비상하는 느낌을 주고 답답해 보이지 않아 좋다.
점심식사 하던 집에서....
영주 선비촌
조선시대의 전통가옥을 복원하고 생활상을 재현하여, 유교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영주시가 건설한 테마파크이다
선비촌은 옛 선현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곳으로
선현들의 학문 탐구와 전통생활 모습을 재현하였습니다.
부지면적이 57,717㎡(17,459평) 이고,
시설들로는 선비촌, 민속시설, 강학시설, 저자거리 등이 있습니다.
<선비촌>
- 와가7동 만죽재 고택, 해우당 고택, 김문기 가옥, 인동장씨 종택, 김세기 가옥, 두암 고택,
김상진가옥
- 초가5동 장휘덕가옥, 김뢰진 가옥, 김규진 가옥, 두암고택 가람집, 이후남 가옥
동해 여름여행 2박3일을 즐겁게 보내고 인천으로 돌아와
멋지게 뒷풀이로 마무리 하고... 모든분 건강히 무사귀가 하였습니다.
수고하신 '지천회' 회원님께 너무 무리한 계획으로
많이 힘들게 한점에 대하여 정중히 사과 올리며 용서 바랍니다.
수고 많이 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지천회" 만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고성 화진포 (0) | 2015.02.07 |
---|---|
강원도 속초 2박3일 겨울여행 (0) | 2015.02.07 |
울진 불영계곡과 "소광리 T 131 Camp" (0) | 2014.08.02 |
울진 천축산 불영사 (0) | 2014.08.02 |
죽변등대와 폭풍속으로 드라마 세트장 (0) | 2014.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