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이

감악산 등정

마이동 2013. 9. 14. 18:20

 

 

 

감악산 등정

 

 

 

 

9월 12일 목요일 오전. 오늘은 지인님과 감악산 등정을 약속하였는데,

집안일로 만남 시간이 늦어지며, 게획도 정확히 못세우고 달려간 허둥데는 시간들...

 

못처럼의 지인님 시간 허락받은  나들이를 망처버린 하루가 되여

지금 시간도 반성하며,  다시 가까운 시일내에 계획을 세워 잘 못하였던 가을 나들이를,

 

 누런 황금들판 위로 코스모스 흔들리는 꽃 바람에 만해할 생각뿐이네요,

한번 더 시간을 허락 하심을 소망 드리며,  함께한  감악산 등정 사진을 올립니다. 

 

 

 

 

 

 

 

 

 

 

 

 

 

 

 

 

자유로를 달려가 간단한 점심 식사를 마치고, 

'황희 정승 유적지' 반구정 찾아 산책하듯 조용히 담아봅니다.   

 

 

 

 

 

 

 

 

 

 

 

 

 

 

 

반구정(泮鷗亭)

 

 

 

1449년(세종 31) 황희가 87세의 나이로 영의정을 사임하고 관직에서 물러난 후 여생을 보내던 곳으로, 

 

 임진강 기슭의 낙하진에 인접해 있어 원래는 '낙하정(落河亭)이라 했는데,

갈매기가 많이 모여들어 '갈매기를 벗 삼는 정자 (泮鷗亭)' 라고 이름지어 불렀다.

 

 

 

 

 

 

 

 

 

 

 

 

 

 

 

열심히 설명하시는 해설사님께 감사하며...

 

 

 

 

 

 

 

 

 

 

 

 

 

 

 

 

 

 

 

 

 

 

 

 

 

 

 

 

 

 

 

 

 

 

 

 

 

 

 

 

 

 

 

 

 

 

 

 

 

 

  

 

 

 

 

 

 

 

 

 

 

 

 

 

 

 

 

 

 

 

 

 

 

 

 

 

 

 

 

 

 

 

 

 

 

 

 

 

 

 

 

 

 

 

 

 

 

 

 

 

 

 

 

 

 

 

 

 

 

 

 

 

 

 

 

 

 

 

 

 

 

 

 

 

 

 

 

 

 

 

  

 

 

 

반구정 기를  받는곳.

 

 

 

   

 

 

 

 

 

 

 

 

 

 

 

 

 

 

 

 

 

 

 

 

 

 

 

 

 

 

 

 

 

 

 

 

 

 

 

 

 

 

 

 

 

 

 

 

 

 

 

 

 

 

 

 

 

 

 

 

 

 

 

 

 

 

 

 

 

 

 

 

 

 

  

 

 

 

 

 

 

 

 

 

 

 

 

 

 

 

 

 

 

 

 

 

 

 

 

 

 

  

 

  

 

 

 

 

 

파주시 파평면 율곡리에 위치한 조용한 

느티나무 아래 임진강을 내려다 보는 화석정을 찾았습니다.

 

 

 

 

 

 

 

 

 

 

 

 

 

 

 

 

 

 

 

 

 

 

 

 

 

 

화석정(花石亭) / 이율곡 (李栗谷)

 

林亭秋已晩(임정추이만)-숲 속의 정자에 가을이 벌써 저물어가니,

騷客意無窮(소객의무궁)-시인의 시상이 끝없이 일어나네.

遠水連天碧(원수연천벽)-멀리 보이는 저 물빛은 하늘에 이어져 푸르고

霜楓向日紅(상풍향일홍)-서리맞은 단풍은 햇볕을 받아 붉구나.

山吐孤輪月(산토고윤월)-산은 외롭게 생긴 둥근 달을 토해 내고,

江含萬里風(강함만리풍)-강은 만리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머금었네.

塞鴻何處去(새홍하처거)-변방에서 날아오는 기러기는 어디로 가는가,

聲斷暮雲中(성단모운중)-울음 소리 석양의 구름 속에 끊어지네.

 

율곡 선생이 8살 때 파주 화석정에서 지었다는 '화석정'이라는 시다.

 

율곡(栗谷)의 화석정(花石亭) 시(詩)의 일부이다.

율곡이 8세에 파주(坡州) 화석정에 올라 지은 오언율시,

격조가 혼성(渾成)하여 시율(詩律)에 능한 사람도 따를 수 없을 정도이다.

 

♣ 이이(李珥)

자(字)는 숙헌(叔獻), 호(號)는 율곡(栗谷). 본관은 덕수(德水). 명종 때 세 번 과거에 모두 장원. 문형(文衡)을 맡음.

 

벼슬은 찬성(贊成)에까지 올랐으며 시호는 문성(文成), 문묘(文廟)에 배향되었음

 

 

 

 

 

 

 

 

 

 

 

 

 

 

 

 

 

 

 

 

 

 

 

 

 

 

 

 

 

 

 

 

 

 

 

 

 

 

 

 

 

 

 

 

 

 

 

 

 

 

 

 

 

 

 

    

 

 

 

 

 

 

 

 

 

  

 

 

 

 

 

 

 

 

화석정(花石亭)과 이율곡 (李栗谷) 이야기

신사임당을 어머니로 외가가 있는 강릉에서 태어난 율곡은 약관 12세에 진사시에 합격한 것을 필두로 29세에 응시한

문과 전시에 이르기까지 아홉 차례의 장원을 휩쓸어 당대의 천재로 칭송을 받으며 벼슬길에 나갔다.
이황과 더불어 조선시대 양대 산맥을 이루는 유학자로 정치가로 활약했던 율곡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0년 전에

이미 왜가 쳐들어올 것을 예견하고 10만 양병설을 주장하다 오히려 당쟁에 휘말려 관직을 벗어던지고 낙향하게 된다.

낙향 후 시문(詩文)으로 소일했던 율곡은 이곳 화석정에 자주 올랐는데, 그럴 때마다 하인에게 항상 기름걸레로

마루 바닥을 닦도록 시켰다.
하인은 도대체 그 영문을 몰랐으나 율곡은 “이 정자가 훗날 요긴하게 쓰일 것이니 내가 죽고 없더라도 마루바닥에

기름칠하는 것을 하루라도 거르지 말거라”고 할뿐이었다.

그후 율곡은 세상을 떠났고, 그가 세상을 뜬 지 8년 후에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파죽지세로 북상해오는 왜군의 침략에 조정은 속수무책이었고, 마침내 선조는 도성을 버리고 피난길에 올랐다.

쫓아오는 적을 피해 임진강에 이르렀을 때는 칠흑 같은 어둠이 앞을 가로막았다.

한치 앞이 보이지 않는 강가에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발을 동동 구르던 일행은 그 순간 산언덕에 환한 불길이 치솟는

것을 보았다.
이에 선조 일행은 무사히 임진강을 건널 수 있었는데, 어둠을 밝혀 주었던 것은 바로 화석정에 솟구친 불길이었다.

세상을 뜨기 전 율곡은 유서를 남겼는데, "나라에 변고가 생겼을 때 열어 보라"고 했다.
이에 가족들은 유서를 봉해 두었다가 전쟁이 일어나자 열어보게 되었다.

거기에는 “모월 모시 밤에 임진강변 화석정에 불을 질러라” 고 적혀 있었다.

영문을 알 수 없었던 가족들이지만 율곡 선생의 예언은 단 한번도 틀린 적이 없었기에 가족들은 그대로 시행했다.

몽진 길에 올랐던 선조 일행이 우왕좌왕 하던 그 시간, 화석정에 솟구친 불길은 주변을
대낮같이 환히 밝혀 선조와 신하들이 무사히 강을 건널 수 있도록 도와 준 것이다.

이때 불타버린 화석정은 80여 년 동안 빈터로 남아 있다가 1673년(현종14년) 율곡의 후손들에 의하여 복원되었으나

6·25 한국전쟁 때 다시 불타 없어졌다. 지금의 건물은 1966년 파주의 유림들이 성금을 모아 복원한 것이다.

율곡 선생이 수시로 오르내리며 상념에 잠겼던 정자는 비록 흔적 없이 사라졌으나 그 모습을 지켜보았을 느티나무는

지금도 화석정을 지키고 서 있다.

둘레가 12m에 이르는 수령 450년의 고목 느티나무는 어린 율곡이 정자에 올라 시를 짓던 그 모습도 어제인양 기억하며,

바람이 불 때마다 너그러운 손짓을 잊지 않는다.

 

 

 

 

 

 

 

 

 

율곡리는 이이의 고향이며,

당시에는 서원도 있었으나 지금은 화석정만 남아 있다.

 

 화석정의 현판 글씨는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이다.

 

 

 

 

 

 

 

 

 

 

임진강 강변을 따라 천천히 어우지리 삼거리에서

늘목리 적동분교를 지나 하늘아래 첫동네를 넘어 감악산을 올랐습니다.

 

 

 

 

 

 

 

 

 

 

 

 

 

 

 

 

 

 

 

 

 

 

 

 

 

 

 

 

 

 

 

 

 

 

 

 

 

 

 

 

 

 

 

 

 

 

 

 

 

 

 

 

 

 

 

 

 

 

 

 

 

 

 

 

 

 

 

 

 

 

 

 

 

 

 

 

 

 

 

 

 

 

 

 

 

 

 

 

 

 

 

 

 

 

 

 

 

 

 

 

 

 

 

 

 

 

 

 

 

 

 

 

 

 

 

 

 

 

 

 

 

 

 

 

 

 

 

 

 

 

 

 

 

 

 

 

 

 

 

 

 

 

 

 

 

 

 

 

 

 

 

 

 

 

 

 

 

 

 

 

 

 

 

 

 

 

 

 

 

오늘 목적인 감악산 ( 675 m ) 정상에 드디어 올랐습니다.

 

 

 

 

 

 

 

 

 

 

 

 

 

 

 

 

 

 

 

 

 

 

 

 

 

 

 

 

 

 

 

 

 

 

 

 

 

 

 

 

 

 

 

 

 

 

 

 

 

 

 

 

 

 

 

 

 

 

 

 

 

 

 

 

 

 

 

 

 

 

 

 

 

 

 

 

 

 

날씨가 운무에 흐리지만

감악산 팔각정자로 향합니다.

 

 

 

 

 

 

 

 

 

 

 

 

 

 

 

 

 

 

 

 

 

 

 

 

 

 

 

 

 

 

 

 

 

 

 

 

 

 

 

 

 

 

 

 

 

 

 

 

 

 

 

 

 

 

 

 

 

 

 

 

 

 

 

 

감악산 산아래 경치가 운무에 잠겨 있네요, 

 

 

 

 

 

 

 

 

 

 

 

 

 

 

 

 

 

 

 

 

 

 

 

 

 

 

 

 

 

 

 

 

 

 

 

 

 

 

 

 

 

 

 

 

 

 

 

 

 

 

 

 

 

 

 

 

 

 

 

 

 

 

 

 

 

 

 

 

 

 

 

 

 

 

 

 

 

 

 

 

 

 

 

 

 

 

 

 

 

 

 

 

 

 

 

 

 

 

 

 

 

 

 

 

 

 

 

 

 

 

 

 

 

 

 

 

 

 

 

 

 

 

 

 

 

 

 

 

 

 

 

 

 

 

 

 

 

 

 

 

 

 

 

 

 

 

 

 

 

 

 

 

 

 

 

 

 

 

 

 

 

 

 

 

 

 

 

 

 

 

 

 

 

 

 

 

 

 

 

 

 

 

 

 

 

 

 

 

 

 

 

 

 

 

 

 

 

 

 

 

 

 

 

 

 

 

 

 

 

 

 

 

 

 

 

 

 

 

 

 

 

 

 

 

 

 

 

 

 

 

 

 

 

 

 

 

 

 

 

 

 

 

 

 

 

 

 

 

 

 

 

 

 

 

 

 

 

 

공연히 감악산서 내려오다 예전 생각에  늘목리 동네 입구. 

도토리묵과 막걸리 시켰지만,  옛 시절만 못해 지인님께 엄청 죄송하기만 하고,,,

 

 

 

 

 

  

 

 

 

 

 

 

 

비가 몹시 내리는 돌아오는 길에

장흥 예뫼골에서 지인님과 차 한잔 하고 갑니다.   

 

 

 

 

 

 

 

 

 

 

 

 

 

 

 

 

 

 

 

 

 

 

 

 

 

 

 

 

 

 

 

 

 

 

 

먼 지역적인 거리와 짧은 시간 일정으로

어렵고 힘들게만 하여드려  너무 너무 죄송합니다.

 

다음 나들이에는 꼭 잘 할것을 다짐하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