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우회 "여행팀"

홍성 제 8경중 홍주목관아 '여하정'

마이동 2013. 4. 7. 12:56

 

 

 

홍성 제 8경중 홍주목관아 '여하정'

 

 

 

홍성 제 8경중에 꼭 들어 간다는 '여하정' 을 찾아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98  "홍성군청 청사" 안에 도착.

 

 예상 밖으로 신기하게 '홍주아문' 과 '안회당'

그리고 '여하정' 이 "홍성군청 청사" 까지 모두가 한데 뒤엉켜 

 

우리의 역사가 숨쉬는 "홍주성" 성곽안에 어지러운 군청청사와

홍성군의회 및 주차장까지 집중되여 있는, 기막힌 현장을 보게 되였네요, 

 

 

 


 




홍주성은 최장 1,772m에 달하였으나 810m만 현존하며 성내 관아 건물이 35동에 이르렀으나 조양문, 홍주아문..

안회당, 여하정만이 남아있다. 

여하정은 고종 33년 홍주목사 이승우가 신축한 이래 역대 홍주목사들이 정사를 구상하며 휴식을 취하였던 곳으로

목조기와의 6각형으로 된 수상정이다. 외래관광객들이 홍성을 방문하였을때 빼놓지 않고 보는 곳이기도 하다. 

 

 


 

 

http://hongseong.go.kr/child/child.do?mc=41010400&tpl_num=1&menu_gubun=CTS&tpl_num=1 

  

 

 

홍성군의 8경중 홍주목관아 여하정(余何亭)

 


 

 

 

 

 

 

 

 

 

 

 

 

 

 

 

 

 

 

 

 

정말 멋있고 아름다운 '여하정' 과 '홍주아문' 을

찾으려,  홍성군청 청사를 한바퀴 돌고서야 만날수 있었다.

 

 

 

 

 

 

 

 

'홍성 오관리 느티나무'  도 보호수는  헐...???

홍성군청 청사내 주차장 로터리로 활용되고 있다.

 

참 현대식 이다 !!!

 

 

 

 

 

 

 

 

 

 

 

 

 

 

 

 

 

 

 

 

 

 

 

 

 

 

 

 

 

 

 

 

 

 

 

'홍주아문(洪州衙門)'

 

 

 

 

 

 

 

 

 

 

 

 

 

 

 

 

 

 

 

 

 

 

 

 

 

 

 

 

 

 

 

 

안회당(安懷堂)

 

안회란 문구는 논어의 공야장편의 "老子安之 朋友信之"에서 유래된 것으로

 "노인을 평안이 모시고 벗을 믿음으로 하며 연소자를 사랑하여야 한다" 라는 뜻이다.

 

 

 

 

 

 

 

 

 

 

 

 

 

 

 

 

 

 

 

 

 

 

 

 

 

 

 

 

 

 

 

 

 

 

 

 

 

 

 

 

 

 

옛날엔 홍주목 관아 동헌인 '안회당' 

지금은 홍성군 군청청사 건물 뒷뜰에  '안회당'

 

누가 먼저 주인인지...???    객이 주인인지...???

뭔가?   많이 안 어울린다.

 

 

 

 

 

 

 

 

 

 

 

 

 

씁쓸하고  답답한 '안회당' 을 뒤로하고 

 "운우회" 님들과 '여하정' 을 조용히 찾아 갑니다. 

 

 

 

 

 

 

 

 

 

 

 

 

 

 

 

 

 

 

 

 

 

 

 

 

 

 

 

 

 

 

 

 

 

 

 

 

 

 

 

 

 

 

 

 

 

 

 

 

 

 

 

 

 

 

 

 

 

 

 

 

 

 

 

 

 

 

 

 

 

 

 

 

 

 

 

 

 

 

 

 

 

 

 

 

 

 

 

 

 

 

 

 

 

 

 

 

 

 

 

 

 

 

 

 

 

 

 

 

 

 

 

 

 

 

 

 

 

 

 

 

 

 

 

 

 

 

 

 

 

 

 

 

 

 

 

 

 

 

 

 

 

 

 

 

 

 

 

 

 

 

 

 

 

 

 

 

 

 

"홍주성 역사관'

 

천천히 '홍주성 역사관' 을 찾아갑니다.

 

 

홍주성역사관

 

 

홍주성 내에 위치한 홍주성역사관은 2011년 5월에 개관하였다. 

대지면적 7199.17㎡, 연면적 1669㎡의 규모로 지상1층, 지하 2층의 건물로 건축의 컨셉은 역사관 뒤편의 나말여초의 토성과

5M의 단절된 공간을 역사관이라는 건축물을 통해서 이어주고 주변 풍광을 거스르지 않는 것이다.

 

홍주성역사관은 성우 나레이션 대신 홍성이 낳은 소리꾼인 장사익이 설명을 맡아 홍성의 역사와 홍주성에 얽인 옛 이야기들을

들려주는 방식을 택했다.
입구에는 북이 떨어진 지형인 홍성을 표현하기 위해 북을 치면 '천고낙지의 땅 홍주'라는 주제 영상이 시작되게 하였다.


전시홀로 내려가면 1871년도 규장각 지도를 참고해 만든 홍주성복원모형도가 있어 당시 홍주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홍성은 한국에서 가장 많은 인물을 배출한 고장답게 최영, 성삼문, 김복한, 이설, 한용운, 김좌진 등에 대해 소개했다.

 

 

홍성의 위인들 옆으로 '홍주와 부보상'이라는 주제 하에 부보상 유품들이 진열했고, 주막을 형상화한 공간에서 문창호에 비친

림자들의 대화를 통해 당시의 시대상을 은유적으로 표현하여 불교, 동학, 천주교의 유입을 자연스럽게 표현했다.

마지막으로 홍주의병과 홍성의 독립운동 등을 구성하여 조선말에서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홍성인들의 나라사랑의 정신을

느낄 수 있게 했다.

에필로그로 '내포의 중심으로 도약'이라는 주제로, 유명한 학자인 지봉 이수광 선생이 홍주목사로 재직하던 시절에 지은 시를

영상으로 소개된다.

 

 

 

부가정보
  • 전시현황
  • Zone1 : 중심을 향한 걸음마 ( 운주에서 홍성까지 홍주역사를 연표과 고지도 및 고서의 기록을 통해 알아보는 공간,

                홍성 홍주읍성 현재 위치와 현황을 소개하고 향후 보원계획에 따라 축소모형을 전시)

  • Zone2 : 내포의 중심, 홍주 ( 홍성의 역사위인들을 소개하는 그래픽월을 구성하여 홍성 홍주읍성 역사의 정신적 바탕을 제시,
  •            지리학적으로 새로운 문화를 빨리 수용할 수 있었던 내포지역의 특징을 소개하고 민을 중심으로 하는 신앙형태들이
  •            확산되었던 주막이라는 공간 제시)
  • Zone3 : 견위수명 (홍주의병의 시작과 배경, 1ㆍ2차 의병봉기의 전개과정, 홍주의병체험, 홍성에서의 애국계몽운동과
  •             국권회복운동, 3.1운동 이해)

 

 

 

 

 

 

 

 

 

 

 

 

 

 

 

 

 

 

 

 

 

 

 

 

 

 

 

 

 

 

 

 

 

 

 

 

 

 

 

 

 

 

 

 

 

 

 

 

 

 

 

 

 

 

 

 

 

 

 

 

 

 

 

 

 

 

 

 

 

 

 

 

 

 

 

 

 

 

 

 

 

 

 

 

 

 

 

 

 

 

 

 

 

 

 

 

 

 

 

 

 

 

 

 

 

 

 

 

 

 

 

 

 

 

 

 

 

 

 

 

 

 

 

 

 

 

 

 

 

 

 

 

 

 

 

 

 

 

 

 

 

 

 

 

 

 

 

 

 

 

 

 

 

 

 

 

 

 

 

 

 

 

 

 

 

 

 

 

 

 

 

 

 

 

 

 

 

 

 

 

 

 

 

 

 

 

 

 

 

 

 

 

 

 

 

 

 

 

 

 

 

 

 

 


 

조선말기(병오년) 홍성지역에서 있었던 의병운동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희생된 분들의 유해를 모신곳이다.


1905년 일본의 강압에 의해 을사박탈조약이 체결되자 이 홍주지역에서는 1906년(병오년)에 전 이조참판 민종식이 채광묵, 박인기, 이만식, 농민,

유생 구 관리를 중심으로 홍주성에 쳐들어갔는데 당시 홍성군수 이교석과 이주승도 처음에는 의병군에 호응할 기미였다가 일본군 다수가 입성한다는 소식을 듣고 성문을 닫고 입성을 막아 부득이 물러난 후 3월 22일에 재차 홍주성에 쳐들어갔으며 5월 19일에 홍주성을 함락시켰다.

그후 일본군이 5월 25일부터 홍주성의 의병군을 공격하여 30일부터 본격전이 시작되었으며 그 때에 일본군 대포에 의해 조양문이 부서졌고,

중과 부적으로 의병 수백명이 전사하여 시체가 대교리 일대의 냇가와 남산일대에 흩어져 있었다.

 
1949년 4월5일 홍성군수 박주철과 홍성경찰서장 박헌교가 직원들을 인솔하고 현재 의사총이 있는 부근에서 식수하다가 의외로 많은 유골을 발견하여 옛노인에게 설명을 듣고 병오 항일의병시 전사한 의병군의 유골이 임시매장된 것으로 판명되어, 충남도에 그 사실을 보고하여 도비 300만환을 받아 유골을 모아 이곳에 합장하여 분묘를 조성하여 현재의 모습이 있게 하였다.

1992년 구백의총(九百義塚)이란 이름을 홍주의사총으로 바뀌었으며 매년 5월30일에 순국의사에 대한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충청남도 기념물 제4호로 지정 받았다가 2001년 8월17일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받았다.

 

 

 

 

 

 

 

 

 

 

 

 

 

 

 

 

 

 

 

 

 

 

 

 

 

 

 

 

 

 

 

 

 

 

 

 

 

 

 

 

 

 

 

 

 

 

 충남 홍성군 홍복면 신경리 용봉산자연휴양림 도착

샤워후 하루 긴 여정의 피로를 풀며,  밤하늘에 별들을 만나봅니다.  

 

 

 

 

 

 

 

 

 

 

 

 

 

 

 

 

 

 

 

 

 

 

 

 

 

충남 홍성군 용봉산 자연휴양림에서

상쾌한 아침 숲속공기 마시며 "운우회" 님들과 등산준비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