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채비.장비사용법

선상낚시

마이동 2012. 1. 18. 00:31

 

 

 

선상낚시! 이것만 알면 아주 쉽습니다.

 

 

 

 

 

 

 

 

 

 

 

 

선상낚시! 이것만 알면 아주 쉽습니다.

 

배낚시는 여러 명이 승선하고 바닥 조류가 있어서 줄 엉킴이 자주 발생합니다.

화가 나신다고 서로 엉겨 붙으셔서 얼굴을 붉히시는 것 보다는 상대방을 먼저 배려 하는 마음으로

한사람은 줄을 풀어주고 다른 한사람은 줄을 감아 엉킨 것을 풀어주는 미덕 이 있어야 합니다.

작은 배려로 인하여 서로 웃는 얼굴로 대해야 더더욱 즐거운 낚시를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처음 낚시를 하시는 분은 낚시장비 구입에 드는 돈이 적지 않으므로 견지낚시를 하게 됩니다.

우럭 낚시는 우럭 낚시 전용 바늘을 사용합니다.

 

인천에서의 선상바다 낚시는 충남 권과는 달이 바닥이 펄과 돌로 되어 있어 충남권의 낚시 바늘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고

추의 경우는 그 날의 포인트 및 수심에 따라 80호에서 120호까지 사용합니다.

 

이에 세 가지가 준비 되면 우선 견지낚시 하나를 준비하고 낚시 바늘을 개봉한 후 바늘과 추를 연결합니다.

배 바늘 연결이 끝나면 미끼를 끼우는데 우럭은 미꾸라지와 지렁이를 모두 먹고,

놀래 미는 아주 큰 어종을 제외하고는 거의 지렁이를 먹습니다.

그래서 윗 바늘엔 미꾸라지 아래 바늘에는 지렁이를 끼웁니다.

 

이제 낚시 준비는 끝나고 선장님의 지시를 기다립니다.

지시에 따라 미끼를 끼운 낚시를 바닥에 닿을 때까지 풀어줍니다.

릴 대 또는 자새, 채비, 미끼(출조 낚시점에 대부분 구비되어 있습니다)

바닥에 닿으면 바로 고패 질을 시작합니다. 고패질의 길이는 30~40 Cm 정도씩 천천히 움직여 줍니다.

 

고패 질이란? 고기를 유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끼를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보이게 하는 것으로

고기를 충동질하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유인책이라 고 할 수 있겠죠,

 

견지낚싯대로 몇 번 해보신후 자신이 붙으시면 우럭 전용 낚싯대와 기타 장비들을 구입 하셔서

더욱 즐거운 선상낚시를 즐기시면 됩니다.

처음부터 너무 무리하지 말고 여러 횟수로 낚시를 즐기시다보면 실력은 늘기 마련입니다.

 

 

 

물때란?

 

달의 인력에 의하여 우리나라 전국해안에 하루2회씩 바다물이 들어왔다가 빠져나가는 시간과 물의 량을 나타내는 표입니다.

물때표란?  지역적, 날짜별로 바닷물의 규칙적인 움직임을 쉽게 알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물때표를 보고 출조 일을 구분해서 잡는 중요한 요점이라고 할 수 있겠죠.

 

 

 

물때에 대한 기본적인 상식들을 알아볼까요.

 

늘어나는 물을 "밀물"이라 하고 줄어드는 물을 "썰물"이라 하여 최고의 높이로 물이

차 있을 때를 "만조"  최저로 물이 줄어있는 상태를 "간조"라 합니다.

 

"만조"로  "간조"까지의 시간은 6시간12분이  소요되며 하루에 "만조" 2회, "간조" 2회가 진행되며 총24시간48분이 소요됩니다.

"만조"에서 "간조"로 물이 빠지는 것을 썰물이라 하고, "간조"에서 "만조"로 물이 올라가는 것을 밀물이라 합니다.

 

이 물의 흐름을 "조류"라하며 물때 일수에 따라 물이 량이 다르고 물의 량과 지형 형태에 의하여 "조류"흐름의 속도에 차이가

있으며 매일 약 50분정도 늦게 시작되어 조금 물때가 되면 원위치에서 다시 반복됩니다.

낚시 고수(조사)가 되시면 이 조류란 놈의 흐름을 파악하는 경지에 도달하게 됩니다.

 

물때는 1(한)물에서 15(열다섯)물때까지 있으며, 마지막 15물때를 조금이라 하고 서해 중부권에서는 조금 다음의 물때를

"무시"라 하여 남해보다 1물때 늦게 계산을 하고, 1개월에 2회가 진행되며 영구히 변하지 않고 반복하는 자연현상입니다.

 

 

 

낚시와 물때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한)물 때에서 15물(열다섯 물)때까지의 주기에서 1물때로 부터 물의 량이 매일 많아지기 시작하여

중간 물때인 7(일곱) ~ 8(여덟) 물때가 최고에 이르며 이때를 "사리 때"라 하고,

여기서부터 조금씩 물의 량이 다시 줄어들기 시작합니다.

 

물의 량이 많으면 "밀물과 썰물" 행위의 조류가 빠르게 되고 조류 속도에 따라 각종 바다 고기들의 행동(먹이 사냥)이

민감하게 반응되기 때문에 적당한 조류 흐름의 시기는 바다낚시 효과에 절대적 중요한 찬스가 됩니다.

 

조류의 흐름에 맞추어 먹이 사냥 등 민첩한 활동을 하다가 조류의 흐름이 맞지 않으면 모든 행동을 중지하고

이동을 하거나 휴식 상태에 접어들어 물때에 의한 조류는 바다낚시에 절대적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물때를 모르는 바다낚시는 장님이 요행으로 문고리를 잡는 것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

 

바다낚시의 최대 효과는 그 장소에 조류의 흐름과 시간을 얼마만큼 알맞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결정된 다해도

지나침이 아니며 만조와 간조의 차이가 큰 지역과 흔히 수심이 얕은 서해 권은 절대적 영향을 받습니다.

 

물때는 1(한)물에서 15(열다섯)물때까지 있으며 마지막 15물때를 조금이라 하고 서해 중부권에서는 조금 다음의 물때를

"무시" 라 하여 남해보다 1물때 늦게 계산을 하고 1개월에 2회가 진행되며 영구히 변하지 않고 반복하는 자연현상입니다.

 

 

 

 물 때 관련 용어정리

 

간조(干潮)와 만조(滿潮)

바다에는 하루에 2번씩 간조와 만조가 있다.

간조는 가장 낮은 물 높이까지 빠져나간 때, 썰물 끝 상태이며,

만조는 이와 반대로 가장 높은 물 높이가 되었을 때, 밀물 끝 상태를 말한다.

 

- 조차(潮差)

만조와 간조 시 해수면(海水面)의 높이 차를 말한다.

갯바위에 섰을 때 패류(貝類)가 군집하는 곳과 그렇지 않는 곳이 구별된다.

즉 만조선이 뚜렷하게 보이는 곳이 많으며 조차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조차는 한사리 때는 크게, 조금 때는 차이가 적다.

 

- 사리(大潮差)

음력 매달 보름(음력 15일)과 그믐(음력 30일) 날에, 조수(潮水)가 많이 들고 나는데 이때를 사리 때를 말한다.

 

 

- 조금(小潮差)

사리의 반대 현상이다. 조차가 적은 날을 말하며 대개 음력 매달 8일과 23일에 있다.

 

 

- 월령(月齡)

달이 차고 기울고 하는 정도를 말한다.

음력 초하루부터 어느 때까지의 시간을 평균태양일수로 나타낸다.

 

 

- 일조부등(日潮不等)

같은 날, 두 번의 만조 또는 간조의 높이가 서로 같지 않은 현상을 말한다.

 

 

- 삭망(朔望)

삭일은 음력 초하루, 즉 달이 거의 안 보이는 날이고 망일은 보름 때를 가리킴

 

 

평균 수면

하루, 한 달, 혹은 1년 동안 변화하는 해면의 높이를 평균한 것을 말한다.

 

 

물때(조석(潮汐)란?

갯바위에서 낚시를 하다보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다 속에 잠겨있던 수중여가 해면 위에 나타나 점점 그 모습이 커진다든가 또는 그 반대로 수면 위에 보였던 간출여가 바다 속으로 잠겨가는 것들은 누구나 경험하는 일이다.

 

이와 같이 해면은 잠시라도 일정한 수준에 머물러 있지 않고 시각이 경과해 감에 따라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이 움직임은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하여 일어나는 것이지만 주로 천체(天體), 즉 달(太陰)과 태양(太陽)에 의하여 유기(誘起)

되는 해면의 주기적인 오르내림으로서 물때(潮汐)라고 부르고 있다.

 

태양과 지구 그리고 달은 수십억 년 전부터 규칙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지구는 태양의 주변을 돌고 있고 달은 또 지구 주변을 돌고 있다.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돌듯 달이 지구의 주위를 돌면서 인력을 작용시키며 그 시간은 달의 공전현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면 한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부산지방에 달의 인력이 작용하는 시간이 00시 라고 가정하면

서쪽에 위치한 진도에서 달의 인력이 작용하는 시간은 이보다 6시간 정도 늦은 아침 06시경이 된다.

이는 달이 인력이 부산에서 진도까지 이동하는 시간이 6시간 정도 걸린다고 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또한 지구의 영향으로 달은 그 모습이 매일 바뀌어 간다.

 

그믐밤은 달이 없으며 상현과 하현달은 반달인 반면 보름은 둥근 만월(滿月)이 된다.

달의 모양에 따라 인력(引力)이 다르게 작용하므로 바닷물을 크게 움직이기도 하고 작게 움직이기도 해 밀물과 썰물의

표고차가 커지고 조류의 움직임 폭도 커져 바닷물의 같은 장소라고 각각 다르게 움직인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