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전회' 만남

민족의 시인 '이육사 생가터' 와 "이육사 문학관"

마이동 2021. 4. 29. 15:32

 

 

 

2021년 4월 7일 수요일 오후, 경북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에 있는 "이육사 생가터"

고택과  민족의 시인 "이육사 문학관"을 찾아 천천히 탐방하였습니다.

 

 

 

 

 

 

 

 

 

 

 

 

 

 

 

 

 

 

목재 고택

 

경북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533-20

(지번) 도산면 원천리 706

010- 8422- 8848

 

 

 

 

 

 

 

 

 

 

 

 

 

 

 

 

 

 

 

 

 

 

 

 

 

 

 

 

 

 

 

 

 

 

 

 

 

 

 

 

 

 

 

 

 

 

 

 

 

이육사 생가터 고택이 수리 중으로 안채를 들어가 볼 수가 없어...

다른 곳에서 모셔 왔습니다.

 

 

 

 

 

 

 

 

 

 

 

 

 

 

 

 

 

 

 

 

 

 

 

 

 

 

이곳 목재 고택에 '이육사' 선생님 딸이신 '이옥비' 여사님이 살고 계시며...

친히 한옥스테이 숙소를 하시면서, 간혹 '이육사' 선생님의 옛 말씀도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하여 주신다고 합니다. 

 

 

 

 

 

 

 

 

 

 

 

 

 

 

 

 

 

 

 

 

 

 

 

 

 

 

 

 

 

 

 

 

 

 

 

 

 

 

 

 

 

 

 

 

 

 

 

 

 

 

 

 

 

 

 

 

 

 

 

 

 

 

 

 

 

 

 

 

 

 

 

 

 

 

 

 

 

 

이육사문학관

 

경북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525

(지번) 도산면 원천리 900

054-852-7337

 

 

 

 

 

 

 

 

 

 

 

 

 

 

 

 

 

 

 

 

 

 

 

 

 

 

 

 

 

 

 

 

 

 

 

 

 

 

 

 

 

 

 

이육사문학관은

 

이육사의 민족정신과 문학정신을 길이 전하고 널리 알리는 공간이다.

일제 강점기에 17번이나 옥살이를 하며 민족의 슬픔과 조국 광복의 염원을 노래한

 

항일 민족시인 이육사 선생의 흩어져 있는 자료와 기록을 한 곳에 모아 육사의 혼,

 

독립정신가 업적을 학문적으로 정리해 그의 출생지인 안동시 도산면 원천리 불미골에

 

전시관(971.75 m2), 생활관(497.28 m2), 이육사 생가(90.72 m2)가 지어졌다.

 

 

 

 

 

정신관(전시관)

 

 

 

 

 

 

 

 

 

생활관(연수원)

 

 

 

 

 

 

 

육우당(이육사 생가)

 

 

 

 

 

 

 

 

 

 

 

 

 

 

 

 

'이육사문학관'에 도착, 문학관 내부 정신관을 먼저 천천히 관람합니다.

 

 

 

 

 

 

 

 

 

 

 

 

 

 

 

 

 

 

 

 

 

 

 

 

 

 

 

 

 

 

 

 

 

 

 

 

 

 

 

 

 

 

 

 

 

 

 

 

 

 

 

 

 

 

 

 

 

 

 

 

 

 

 

 

 

 

 

 

 

 

 

 

 

 

우선 2층 시청각실에서 약 9분간 행동하는 민족시인  "이육사" 선생님의 발자취를

돌아보며 너무 감명 깊게 잘 보았습니다.

 

 

 

 

 

 

 

 

 

 

 

 

 

 

 

 

 

 

 

 

 

 

 

 

 

 

 

 

 

 

 

 

 

 

 

 

 

 

 

 

 

 

 

 

 

 

 

 

 

 

 

 

 

 

 

 

 

 

 

 

 

 

 

 

 

 

 

 

 

 

 

 

 

 

 

 

 

 

 

 

 

 

 

 

 

 

 

 

 

 

 

 

 

 

 

 

 

 

 

 

 

 

 

 

 

 

 

 

 

 

 

 

 

 

 

 

 

 

 

 

 

 

 

 

 

 

 

 

 

 

 

 

 

 

 

 

 

 

 

 

 

 

 

 

 

 

 

 

 

 

2층과 1층 전시실을 천천히 돌아봅니다.

 

 

 

 

 

 

 

 

 

 

 

 

 

 

 

 

 

 

 

 

 

 

 

어머니 회갑연 기념 병풍

 

 

 

 

 

 

 

 

 

 

 

 

 

 

 

 

 

 

 

 

 

 

 

수감번호 264, 이원록

 

이육사는 1927년 장진홍 의거 때부터 시작해서 1944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총 17번

수감되었으며, 그가 생을 마감한 곳도 감옥이었습니다.

 

 

 

 

 

 

 

 

 

 

 

 

 

 

 

 

 

 

 

 

 

 

 

 

 

 

 

 

 

 

 

 

 

 

 

 

 

 

 

 

 

 

 

 

 

 

 

 

 

 

 

 

 

 

 

 

 

 

 

 

 

 

 

 

 

 

 

 

 

 

 

 

 

 

 

이육사는 생전에 독립을 보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지만, 독립 후 많은 사람들의

기억 속에 독립운동가이자 시인으로 남아 있습니다.

 

 

 

 

 

 

 

 

 

 

 

 

 

 

 

 

 

 

 

 

 

 

 

 

 

 

 

 

 

 

 

 

 

 

 

 

 

 

 

 

 

 

 

 

 

 

노랑나븨는 이육사의 생애, 문학, 독립운동을 테마로 하는 북카페입니다.

 

이육사문학관 2층에 위치하며 좋은 책을 선별, 전시해서 안목을 높이고 서가를 발전시켰습니다.

이육사문학관 관람객들을 위한 문학카페로서 전시관내에 있는 작은 문화공간입니다.

 

 

 

 

 

 

 

 

 

 

 

 

 

 

 

 

 

 

 

 

 

 

 

 

 

 

 

 

 

 

 

 

 

 

 

 

 

 

 

 

 

 

 

 

 

문학관 건물 외곽으로 나와 "이육사 선생님" 동상 앞에서 인증숏을 남깁니다.

 

 

 

 

 

 

 

 

 

 

 

 

 

 

 

 

 

 

 

 

 

 

 

 

 

 

 

 

 

 

 

 

 

 

 

 

 

 

 

 

 

 

 

 

 

 

 

 

 

 

 

 

 

 

 

 

 

 

 

 

 

 

 

 

 

 

 

 

 

 

 

 

 

 

 

 

 

 

 

 

 

 

 

 

 

 

 

 

 

 

 

 

 

 

 

 

 

 

 

 

 

 

 

 

 

 

'단전회' 님들과 꼭 와 보고 싶었던 "이육사 문학관"을 탐방하고 갑니다.

언제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